본문 바로가기
투자 전략 & 팁

탄소배출권(탄소크레딧) ETF 투자 가이드 : 친환경과 수익 둘 다 잡기

by 서학개미 연구소장 2025. 6. 28.
반응형

 

탄소배출권 시장이 2025년 들어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습니다. 전 세계 각국이 2025년 초까지 새로운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3.0)를 제출해야 하는 상황에서, 탄소배출권 ETF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들이 2030년 목표를 강화하고 2035년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면서, 탄소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탄소배출권 시장의 현재와 미래 전망

시장 규모의 폭발적 성장

탄소배출권 시장은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MSCI 데이터에 따르면, 글로벌 탄소크레딧 시장은 2024년 15억 달러에서 2030년 350억 달러, 2050년에는 2,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발적 탄소시장(VCM)만 해도 2023년 25억 달러에서 2030년 1,000-2,500억 달러로 급성장할 예정입니다.

 

시장 품질의 개선

과거 2년간 탄소크레딧의 품질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최저 등급(CCC) 크레딧의 비중이 29%에서 15%로 감소했고, 고등급(A 또는 AA) 크레딧 사용은 6%에서 12%로 두 배 증가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더욱 신뢰할 수 있는 투자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2025년 주목해야 할 탄소배출권 ETF

1. iShares Global Clean Energy ETF (ICLN)

 

핵심 특징

  • 블랙록이 운용하는 대표적인 청정에너지 ETF
  • 현재 자산규모: 50-60억 달러, 2025년 목표: 80-100억 달러
  •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업에 집중 투자

주요 보유종목

  • First Solar Inc.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
  • Iberdrola SA (스페인 전력회사)
  • Enphase Energy Inc. (태양광 인버터)
  • Vestas Wind Systems (풍력발전)
  • Ørsted (덴마크 해상풍력)

투자 철학 : 무기, 담배, 석탄, 오일샌드, 북극 시추 관련 기업을 완전히 배제하여 진정한 지속가능 투자를 추구합니다.

 

2. KraneShares Global Carbon Strategy ETF (KRBN)

 

성과와 전망

  • 설립 이후 100% 이상의 수익률 기록
  • 2022년 2월 최고점 56달러에서 현재 약 40달러 수준
  • 2025년 6월 기준 17.76%의 월간 수익률 기록

투자 방식 : 글로벌 탄소배출권 선물계약을 추적하여 탄소 가격 상승에 직접적으로 노출됩니다.

 

3. KraneShares California Carbon Allowance Strategy ETF (KCCA)

지역별 특화 전략 : 캘리포니아 탄소배출권 프로그램에 특화된 ETF로, 2012년부터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캘리포니아 온실가스 배출량의 80%를 커버하며 2045년 탄소중립 목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NDC 목표와 투자 기회

한국의 현재 상황

한국은 2021년 12월 NDC에서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 감축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이는 이전 목표인 24.4%에서 크게 상향된 것이지만, 파리협정의 1.5°C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59%의 국내 감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투자 관점에서의 기회

한국 정부의 탄소중립법 제정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는 국내 탄소시장의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탄소배출권 ETF 투자에 있어 한국 투자자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실전 투자 가이드

Step 1: 투자 계좌 개설

탄소배출권 ETF 투자를 위해서는 ETF 거래가 가능한 증권계좌가 필요합니다. 국내 주요 증권사나 해외 투자가 가능한 플랫폼을 선택하세요.

 

Step 2: 투자 전략 수립

 

포트폴리오 비중 결정 :

  • 초보자: 전체 포트폴리오의 5-10%
  • 경험자: 10-20%까지 고려 가능

분산투자 전략 :

  • 지역별 분산: 글로벌(KRBN) + 지역별(KCCA) 조합
  • 섹터별 분산: 직접 탄소크레딧 + 청정에너지 ETF 조합

Step 3: 리스크 관리

변동성 이해 : 탄소배출권 시장은 단기적으로 높은 변동성을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당시 급락 후 회복세를 보인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2025년 하반기 투자 포인트

NDC 제출 일정과 투자 타이밍

2025년 초까지 각국의 새로운 NDC 제출이 예정되어 있어, 관련 뉴스가 나올 때마다 탄소배출권 ETF에 대한 검색과 투자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22개국이 이미 2035년 감축 목표를 포함한 NDC를 제출한 상황에서, 추가 국가들의 발표가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술 발전과 시장 투명성

블록체인, AI, 위성 이미징 등 신기술의 도입으로 탄소크레딧의 무결성 문제가 해결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성과 비교와 선택 가이드

ETF 1개월 수익률 3개월 수익률 특징
UBS European Physical Carbon ETC 6.07% 0.52% 유럽 탄소배출권 직접 투자
HANetf SparkChange Physical Carbon EUA ETC 5.93% -0.10% 물리적 담보 방식
WisdomTree Carbon 5.97% -0.44% 선물계약 기반
KraneShares Global Carbon Strategy ETC 17.76% 7.09% 글로벌 탄소시장 노출

초보자를 위한 실무 팁

1. 소액 투자부터 시작
월 10-20만원 정도의 소액으로 시작하여 시장의 움직임을 파악한 후 투자 규모를 늘려가세요.

2. 정기적인 모니터링
NDC 관련 뉴스, COP 회의 결과, 주요국 정책 발표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

3. 장기 투자 관점 유지
탄소배출권 시장은 2030년, 2050년 장기 목표와 연동되어 있어 단기 변동에 흔들리지 말고 장기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탄소배출권 ETF는 환경 보호와 수익 창출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매력적인 투자 옵션입니다.

 

2025년 하반기는 각국의 강화된 NDC 목표 발표와 함께 탄소시장이 새로운 성장 단계에 접어드는 시점으로, 지금이 바로 탄소배출권 ETF 투자를 시작하기에 적절한 타이밍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